분류/단계 |
깊이 손상 정도 |
특징 |
I |
Non-Blanchable Erythema |
-국소적 손상이 없는 홍반 -표피가 손상된 단계 -피부를 눌렀을 때 하얗게 변하지 않는 발적(Non-Blanching) -발적 부위는 압력 제거 30분 후에도 정상 피부색으로 회복되지 않음 -통증 있음 -피부는 단단하거나 부드럽거나, 주변 피부에 비해 따뜻하거나 차가울 수 있음 |
II |
partial thickness skin loss |
-얕은 상처로 상처바닥이 붉음 -표피와 진피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단계 -상처 바닥은 붉은색 -부육절(slough)이나 멍이 없음 -통증이 심함 -얇은 궤양 또는 장액성 수포가 나타남 |
III |
Full thickness skin loss |
-피하지방층까지의 피부손상 -표피,진피,피하조직까지 손상되어있으며 뼈,인대,근육손상은 없음 -괴사조직이 있어도 조직손상이 명확 -잠식(Undermining)이나 동로(Sinus Tract)가 존재할 수 있음 -코,귀,후두부,복사뼈 부위는 피하지방이 없어 깊이가 매우 얇은 |
IV |
Full thickness tissue loss |
-뼈,인대, 근육이 노출된 피부손상 -전층 피부손상 상태 -근막, 근육,뼈, 건, 인대 노출 -잠심(Undermining)이나 동로(Siunus Tract)및 괴사조직이 존재할 수 있음 -골수염과 골염이 발생할 수 있음 |
Suspected Deep Tissue Injury |
Depth unknown |
-보랏빛이나 갈색의 변색이 있는 벗겨지지 않는 피부 -피부의 일부분이 보라색이나, 적갈색으로 변색 -혈액이 찬 수포 -주위 조직에 비해 딱딱하거나, 물렁거림 -따뜻하거나 차갑게 느껴질 수 있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 -개방 상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심부조직 손상으로 진행 |
Unstageable |
Depth unknown |
-상처바닥이 괴사조직으로 덮여 깊이를 알 수 없음 -전층 피부 손상이나, 상처 기저부가 뷰육조직이나 건조가피로 덮여있는 경우 -조직 손상의 깊이를 알 수 없으므로 단계를 분류 할 수 없는 상태 -상처바닥이 보이기 전까지 실질적인 깊이를 알 수 없으나 보통 3~4단계로 간주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