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OCN_상처 치유 과정
    AS_NURSE 2020. 6. 2. 01:15

    #상처치유기전

    -상처 치유는 심각도에 상관없이 재생과 반흔조직형성 두 기전으로 치유된다

    재생(regenaration) : 이전조직과 똑같은 조직응로 대체되는것

    반흔조직형성(scar tissue formation, granulatison) : 결합조직으로 채우는 과정. 기능,외관이 이전과 같지 않고 흉터가 남음

    Wound Healing in Mammals and Amphibians: Toward Limb Regeneration in Mammals - Scientific Figure on ResearchGate

    #치유과정

    1) Partial thickness wound

    -표피, 진피의 부분적 피부손상으로 얇은 표면적 상처와 촉촉하며 통증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

    -치유는 재생(regeneration)에 의해 이루어짐

    -복구과정

    초기 염증반응(홍반,부종,삼출물)->상피세포가 증식하여 상처표면으로 이동->정상 피부층 재 복구

    2) full thickness wound

    -표피, 진피 전부, 피하조직까지 침범 (근육, 뼈까지 침범하기도 함)

    -치유는 반흔조직(granulation)에 의해 이루어짐

    -복구과정(복합적으로 이루어짐)

    크게 염증기와 증식기 성숙기로 나누어짐

    Life SciencesVolume 116, Issue 1, 22 October 2014, Pages 1-7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
    초기에는 지혈을 위해 혈관수축
    이후 혈관이 확장되어 상처부위 관류를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조직의 산소화를 제공, 상처 치유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

    주요증상 : 발적,부종,발열,통증,기능저하

    염증기의 결과로 출혈 통제, 깨끗한 상처기저 유지됨.

    괴사조직이 제거,감염 통제될 때까지 지속되는 반응으로 삼출물이 있을 경우 흡수드레싱이 요구됨 
    결손부위에 새 결체조직(scar)이 채워지는 것으로 구조단백질(콜라겐)합성으로 육아조직형성(granulation)이 되고

    상처 크기를 줄이려는 상처 가장자리의 이동으로 수축(Contraction)이 일어나며

    새 상피세포가 상처 가장자리에서 이동하여 다시 덮이는(resurface) 상피화(Epithelialization)과정을 거친다.

     
    증식기를 거친 후 마지막으로 육아조직이 주변조직과 비슷하게 강화, 재조직화 되는 성숙기.

    콜라겐 합성(장력 증가)과 분해(반흔 감소)가 동시에 발생하며 6-12개월 가량 소요된다.

    저산소증과 영양불량은 콜라겐 합성 감소로 재손상을 초래하며, 완전 치유 후에도 처음 강도와 탄력성은 80% 복구됨

     

    #상처치유 영향 요인

    1) 조직관류/산소 

    산소는 세포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만성 저산소증의 경우 백혈구 활동 감소로 감염저항력이 저하되며, 콜라겐 합성 저하로 장력 있는 육아조직을 생성하지 못하게 됨.

    2) 영양

    상처치유를 돕는 세포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면역체계를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필수 조건

    상처 발생과 치유에 영향을 미치며, 필요한 영양소로는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수분 등이 있다.

    3) 감염유무

    상처에 세균감염이 있을 시 염증단계 지연, 콜라겐 합성 지연, 상피화 방해 

    4) 당뇨

    고혈당이 지속될 경우 상처 치유 지연과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콜라겐 합성과 축적 방해, 장력을 감소. 백혈구 기능 악화, 식균작용과 대식세포 감소

    혈관변화로 관류가 악화되어 결국 상처치유가 지연된다

    5) Corticosteroids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약물로 상처치유를 저하시키고 감염에 더욱 취약해짐

    6) 면역억제

    면역이 저하되어 면역체계 손상으로 염증 반응 촉진하는 사이토카인 분비가 안됨

    상처 치유가 지연되고 감염 민감성이 증가함

    7) 나이

     노화는 피부와 세포의 변화를 일으켜(비만세포와 대식세포의 기능약화로 염증반응 감소, 각질세포와 섬유아세포 활동 감소, 콜라겐 합성감소, 상피화 지연) 상처치유과정을 지연시킴.

    8) 국소치료 

    상처 표면을 세척하고, 습윤드레싱을 유지하여 상처치유를 도모

    9) 심리적 상태

    스트레스나 교감신경의 흥분은 표피세포 재생을 방해한다

    10) 기타

    건강이 좋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혈액학 상태, 저체온 상태, 박테리아 집락화 시 상처치유를 지연시킨다.

     

     

    'AS_N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CN_Antiseptics (소독제)  (0) 2020.06.06
    WOCN_욕창사정도구 Braden scale  (0) 2020.06.05
    WOCN_국제 욕창 분류 체계  (0) 2020.06.04
    WOCN_욕창  (1) 2020.06.03
    간호사입니다.  (0) 2020.06.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