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CN_상처 소독의 종류AS_NURSE 2020. 6. 8. 23:45
오늘도 고단한 이브닝 근무를 끝내고 퇴근 후 포스팅을 하고있네요. 다들 안녕하신지요?
그래서 오늘은, WOCN과정 중 가장 궁금했던 상처 소독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병동에서 환자를 케어하다 보면, 담당 간호사가 상처 소독에 대해 조금 더 적합하게 알고 있었더라면. 하고 안타까운 상황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모든 상처를 가진 환자를 상처간호사가 볼 수도 없는 노릇이니 말입니다.
적절한 소독이 상처치유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드레싱의 제제 분류
Gauze Hydrogel Film Hydrocolloid Foam Alginate/
Hydrofiber장점 -싸다
-Any wound
-초보자가능
-자주 교환해야 하는 드레싱에 적합-괴사조직을 연하게 해줌
-통증 경감-반폐쇄드레싱
-상처가보임
-굴곡진 부분에 적합함-폐쇄드레싱
-약간의 삼출물 흡수
-Colloidal particles
-Autolytie debridement-반폐쇄드레싱
-다양한 MVTR(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제거시 트라우마 적음
-패딩효과
-쉽게적용가능-Absorb 20 times their Wt of exudate
-High MVTR
-삼출물 많은 상처
-감염된 상처 사용 가능단점 -들러붙음
-기능이없다-삼출물 흡수 안됨
-감염된 상처에는 사용금지-삼출물흡수안됨
-감염된상처에사용안됨
-Not on fragile(취약한) skin-삼출물이 많은 창상에는 사용 못함
-감염된 상처 금지
-Leave residues after removal-Not ideal for areas of high friction
-Conformability↓-Not on exposed tendon, capsule, or bone
-Not for dry wounds
각 드레싱 종류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명확합니다.
실제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드레싱 재료대는 병동마다 차이가 나고 수술상처의 경우 교수님의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도 있지만
환자를 케어하는 간호사의 입장에서 이 환자에게 어떤 상처소독이 더욱 적합할지는 늘 고민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
'AS_N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센다펜주,삭센다 주사(내가 맞아보고 내가 쓰는 삭센다 후기2) (0) 2020.06.12 chemoport 케모포트 관리 (0) 2020.06.10 WOCN_Antiseptics (소독제) (0) 2020.06.06 WOCN_욕창사정도구 Braden scale (0) 2020.06.05 WOCN_국제 욕창 분류 체계 (0) 2020.06.04